Museum + 아름다운 동행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조현종)은 문화생활에 소외되어 있는 ‘문화희망계층’과 일반인의 소통을 위한 ‘Museum+ 아름다운 동행’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국립광주박물관은 소외라는 개념보다는 ‘희망’이라는 개념으로 표현을 달리해서 그 의미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또 박물관이 그 대상! 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느끼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고자 2007년부터 희망계층이라 부르고 있다.
‘Museum+ 아름다운 동행’은 군인과 노인, 장애우와 일반인 등이 함께 어우러지는 박물관 교육과 자원봉사 활동 등으로 진행된다. 희망 단체를 박물관으로 초대하거나 박물관이 희망 단체로 찾아가 우리의 전통문화를 함께 체험하고 느끼면서 박물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층이 문화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전통 그림 카드’, ‘매화 메모판 만들기’, ‘희망이 솟는 새, 솟대’, ‘전통 문양 염색 액자’, ‘우리 문양 한지’, ‘전통 다식과 전통차’ 등 우리 문화를 중심으로 계층간 소통이 가능한 다양한 체험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교육장소는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뿐만 아니라 박물관에서 신청 기관에 찾아가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2009년 교육을 개설하기에 앞서 지난 2008년 12월에 국군함평병원의 이등병들과 함께 함평 소재 노인요양원을 찾아가 시범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군인은 노인의 거친 손을, 노인은 군인의 따뜻한 손을 함께 맞잡아 대나무를 그려나가고 바위를 표현하면서 나누는 문화적인 이야기, 서로의 삶에 대! 한 이야기를 통해 짧은 시간이지만 같은 문화 속에 함께 살아가는 ‘우리’를 느끼며 행복해했다.
장애우와 일반인의 연계도 마찬가지다. 서로를 접하는 기회가 적기 때문에 지레 겁을 먹고 피하기가 일쑤지만 박물관 교육을 통해 함께 눈을 마주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우리 문화를 느끼고 서로를 느끼며 소통하고 교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립광주박물관은 “Museum+ 아름다운 동행”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우, 노인, 저소득층 등의 문화 ! 소외대상이 문화 희망대상이 되어 함께 같은 문화 속에 살아가는 사회기반을 조성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루고, 다양한 사람들이 박물관 안에서 함께 소통하고 어우러지는 ‘사랑의 박물관’으로 거듭나게 되기를 기대한다.